코로나 이후, 세종에 위치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온라인 근무의 연속성을 위해 메타버스 협업 프로그램 ‘게더 타운 Gather Town‘을 도입하였습니다. 

게더타운 내 기본 템플릿 대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만의 독자적인 가상 공간을 구축하고자, 컨벤션 센터, 청소년 유스센터, 그리고 메인 외부 공간 이렇게 총 세 가지 주요 공간의 맵 제작을 요청받았습니다. 이 세 가지 공간의 행사 취지와 목적에 적합하게 먼저 스케치를 진행한 후, 그를 바탕으로 정교한 맵 제작을 진행하였습니다.

디자인 작업에서는 게임 디자인 요소를 적극 반영하여 단순한 그래픽이 아닌 ‘상호작용이 가능한 공간’으로서의 맵을 구상하였습니다. 백그라운드와 포그라운드 이미지를 분리하여, 캐릭터가 맵 위를 이동하거나 요소들과 상호작용할 때 공간감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설정했습니다.

drawing & graphics space design

또한, 맵에 배치되는 모든 오브젝트(가구, 식물, 키오스크, 장식물 등)는 모두 직접 일러스트로 제작하였으며, 단순 장식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동선과 인터랙션 가능성을 고려해 기능적으로 설계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카페 테이블은 그룹 단위의 대화를 유도하도록 기능 맵핑이 되었고, 키오스크와 책장은 정보 접근과 자료 다운로드가 가능한 실용적 요소로 활용되었습니다.

전체적인 그래픽 스타일은 픽셀 일러스트의 감성을 부분적으로 차용해, 게더타운의 픽셀 기반 아바타와 이질감 없이 조화를 이루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 속 공간에 들어와 미션을 수행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의도하였으며, ‘이 공간을 직접 탐색하고 경험해보고 싶다’는 감정을 유도하는 것이 디자인의 핵심 목표였습니다.

이동 동선 설계 또한 게임 디자인 요소를 적극 반영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전체 공간을 탐색할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벽으로 막힌 공간은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진입이 불가능하게 처리하고, 통로로 연결되는 곳에는 계단 그래픽이나 벽이 없는 열려 있는 구조로 시선을 유도해, 플레이어가 ‘갈 수 있는 곳’과 ‘갈 수 없는 곳’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효율적으로 이동하면서도, 맵 제작자가 의도한 순서와 흐름에 따라 공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컨벤션 센터 맵은 2022년, 2023년에 리뉴얼해 각각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 학술대회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본 맵 디자인은 단순한 가상 공간 구축을 넘어, 연구원의 재택근무 및 협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온라인 상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1. 컨벤션 센터

학술대회 및 대규모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기획된 컨벤션 센터에는 마이크, 연단, 객석과 같은 기본 컨퍼런스 요소 제작 외에도 참석자들이 자료를 손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키오스크와 책장, 행사를 축하하는 화환 등을 넣었습니다. 첫 입장 후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인포메이션 존 근처 현수막을 지나면 자연스러운 동선으로 맵 전체를 구경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습니다. 또한, 카페 및 라운지 공간에서는 행사 참석자들이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도록 테이블 별 프라이빗 대화 공간을 기능 맵핑하여 설계함으로써, 사용자 간 소통과 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했습니다.
2. 청소년 유스센터

청소년 유스센터는 내부 중앙에 큰 나무와 흐르는 물이 있는 중정을 도입해 실내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넓은 창을 통해 외부 전경과 자연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탁 트인 느낌을 주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 공간은 청소년들이 회의, 멘토링, 상담 등 다양한 활동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기능적인 요소들을 세심하게 배치하였으며, 편안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부드러운 색조를 활용하였습니다. 청소년 사용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디테일한 비주얼 요소와 직관적인 공간 구분을 통해, 정보와 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세밀하게 구성했습니다.
3. 메인 외부 공간

메인 외부 공간은 분수대, 야외 무대, 포토존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세 가지의 공간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실제 장소처럼 연속적인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상단에 위치한 각 건물의 외부 모습은 조화롭게 디자인되어 전체 맵의 통일성을 유지했으며, 두 건물 사이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앞 실물 기념석을 2D로 표현하여 친숙한 랜드마크 요소로 도입하였습니다. 이 공간은 행사 및 휴식, 소통의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요소와 시각적 요소가 균형 있게 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며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



© 2025 OCHICHI. All rights reserved.  
Unauthorized use or reproduction is strictly prohib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