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더타운 내 기본 템플릿 대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만의 독자적인 가상 공간을 구축하고자, 컨벤션 센터, 청소년 유스센터, 그리고 메인 외부 공간 이렇게 총 세 가지 주요 공간의 맵 제작을 요청받았습니다. 이 세 가지 공간의 행사 취지와 목적에 적합하게 먼저 스케치를 진행한 후, 그를 바탕으로 정교한 맵 제작을 진행하였습니다.
디자인 작업에서는 게임 디자인 요소를 적극 반영하여 단순한 그래픽이 아닌 ‘상호작용이 가능한 공간’으로서의 맵을 구상하였습니다. 백그라운드와 포그라운드 이미지를 분리하여, 캐릭터가 맵 위를 이동하거나 요소들과 상호작용할 때 공간감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설정했습니다.
drawing & graphics space design
전체적인 그래픽 스타일은 픽셀 일러스트의 감성을 부분적으로 차용해, 게더타운의 픽셀 기반 아바타와 이질감 없이 조화를 이루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 속 공간에 들어와 미션을 수행하는 듯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의도하였으며, ‘이 공간을 직접 탐색하고 경험해보고 싶다’는 감정을 유도하는 것이 디자인의 핵심 목표였습니다.
컨벤션 센터 맵은 2022년, 2023년에 리뉴얼해 각각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 학술대회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본 맵 디자인은 단순한 가상 공간 구축을 넘어, 연구원의 재택근무 및 협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온라인 상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학술대회 및 대규모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기획된 컨벤션 센터에는 마이크, 연단, 객석과 같은 기본 컨퍼런스 요소 제작 외에도 참석자들이 자료를 손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키오스크와 책장, 행사를 축하하는 화환 등을 넣었습니다. 첫 입장 후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인포메이션 존 근처 현수막을 지나면 자연스러운 동선으로 맵 전체를 구경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습니다. 또한, 카페 및 라운지 공간에서는 행사 참석자들이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도록 테이블 별 프라이빗 대화 공간을 기능 맵핑하여 설계함으로써, 사용자 간 소통과 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했습니다.
청소년 유스센터는 내부 중앙에 큰 나무와 흐르는 물이 있는 중정을 도입해 실내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넓은 창을 통해 외부 전경과 자연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탁 트인 느낌을 주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 공간은 청소년들이 회의, 멘토링, 상담 등 다양한 활동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기능적인 요소들을 세심하게 배치하였으며, 편안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부드러운 색조를 활용하였습니다. 청소년 사용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디테일한 비주얼 요소와 직관적인 공간 구분을 통해, 정보와 소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세밀하게 구성했습니다.
메인 외부 공간은 분수대, 야외 무대, 포토존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세 가지의 공간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실제 장소처럼 연속적인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상단에 위치한 각 건물의 외부 모습은 조화롭게 디자인되어 전체 맵의 통일성을 유지했으며, 두 건물 사이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앞 실물 기념석을 2D로 표현하여 친숙한 랜드마크 요소로 도입하였습니다. 이 공간은 행사 및 휴식, 소통의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요소와 시각적 요소가 균형 있게 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며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습니다.